동국여지비고에 실린 기록:
태조 5년(1396년)에 돌로 쌓았는데 평양 감사(平壤監司) 조준(趙浚)이 공사를 감독하였다. 세종 4년(1424년)에 고쳤는데, 주위가 1만 4천 9백 35보로 주척(周尺)으로 재어서 8만 9천 6백 10자요, 높이가 40자 2치이다. 문 8개를 세웠다. 정남쪽 문을 숭례문(崇禮門)이라 하는데, 이층 지붕이고, 양녕대군(讓寧大君)이 현판 글씨를 썼으며 민간에서 남대문이라 부른다.

(김학수 화백의 조선시대 칠패시와 함께 그린 풍경)

(김학수 화백의 조선시대 칠패시와 함께 그린 다른 풍경)

(김학수 화백이 그린 여름 풍경)

(김학수 화백이 그린 겨울 풍경)

(1770년 목판인쇄본 지도에 실린 숭례문)

(1880년 사진)

(19세기 말엽 사진)

(1900년 사진)

(영국에 소개된 자동차가 출현했을 때 시민들의 놀람을 그린 그림)

(20세기 초무렵의 사진)

(20세기 초무렵의 사진)

(20세기 초무렵의 사진)
임진왜란과 남대문:
도성(都城)의 남대문(南大門)에 숭례문(崇禮門)이라는 이름은 삼봉(三峯) 정도전(鄭道傳)이 지은 것이요, 그 액자는 세상에서 전하기를, 양녕대군(讓寧大君) 의 글씨라 한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왜적들이 그 액자를 떼어 버려 유실되었는데, 왜란이 평정된 후 남문(南門) 밖의 못[池] 근방에서 밤마다 괴이한 광선(光線)을 내쏘므로 그곳을 발굴하여 다시 이 액자를 찾아 걸었다고 한다....
... 현재 숭례문(崇禮門)의 편액은 정난종(鄭蘭宗)이 쓴 것이다. 그렇다면, 국초(國初)에 걸었던 편액이 반드시 있었을 것인데, 양녕대군(讓寧大君)이 어째서 다시 썼단 말인가. 난리가 평정된 후 괴이한 광선으로 인하여 다시 찾아 걸었다고 하였으니, 정공(鄭公)은 또 어떻게 해서 그를 써서 걸었단 말인가. 하물며 정공은 세조(世祖) 때 사람으로 글씨를 잘 썼기 때문에 비판(碑版)이나 종명(鐘銘)을 어명에 의해 많이 썼으니, 숭례문의 편액도 그의 글씨라는 말은 거짓이 아니다. 그리고 그 자체(字體)를 보아도 바로 그의 서체(書體)임이 분명하다. 임진왜란 때에 왜노(倭奴)들에 의해 없어졌다가 난리가 평정된 후 다시 찾아 걸게 됨으로써, 양녕대군의 글씨라고 와전된 데다 괴이한 광선에 대한 설(說)까지 다시 부회(傅會)된 것이다. (오주연문장전산고 중에서 발췌)
병자호란과 남대문:
병자년(1636) 병란 때에 임금님께서 강화(江華)로 피신하기로 의논을 정하고는 늙고 병든 사람을 먼저 보내도록 명하였기 때문에 부군이 먼저 도성을 떠나게 되었다. 그리고 나는 예조 판서의 신분으로 대궐에 있다가 묘사(廟社)의 신주(神主)를 따라서 먼저 길을 나섰고, 그 뒤를 이어 임금님이 타신 대가(大駕)가 출발하였는데, 대가가 남대문(南大門)에 이르렀을 때 오랑캐의 기병을 만났다. 그랬으므로 길을 피하여, 다시 수구문(水口門)을 통해서 남한산성(南漢山城)으로 향하였다. (포저집 선부군 행장 중에서 발췌)

(대한제국 멸망과 함께 남대문 앞에 세워진, 한일합방을 환영하는 기념문)

(대한제국 멸망 후 성벽이 헐린 직후 무렵 사진)


(일제시대의 사진)

(일제시대 교과서 그림: 한일합방을 즐거워하는 두 나라 사람들 이라는 내용의 설명과 함께)

(일제패망 직후, 서울에 진주하는 연합군을 구경하는 시민들과 환영 행렬)

(대한민국 정부 수립 무렵 1946-1948년경)

(한국전쟁 중의 사진)

(공산당 점령하의 서울, 미군 철군을 주장하는 시위대 사진)

(한국전쟁으로 파괴된 서울에 서 있는 사진)

(1952년)

(한국전쟁 직후 사진)

(50년대 지폐)

(4.19이전 이승만 대통령의 선거 홍보 사진이 붙은 모습)

(60년대 초의 남대문)

(1962-63년 개보수 공사 직후 사진)

(60년대 지폐)

(언제나 지겹도록 지켜보던 20세기 후반의 풍경)

(60년대판 대괴수 용가리 영화에서 용가리가 남대문 앞으로 접근하는 장면)

(1970년대, 박노식, 최지희, 안인숙 주연, 설태호 감독, 영화, "남대문 출신 용팔이" 포스터)

(1987년 민주화 시위 당시 사진)

(1988년 서울 올림픽 기념 주화)

(90년대초 일본 비디오 게임 아랑전설 시리즈에 등장하는 장면)

(서울 관광 홍보 영상 등에서 진부하도록 보던 풍경)


(접근 횡단보도 재개)

(일반 개방 재개)

(2006년에 나온 성벽 복원 계획)


(2008년 2월 10일 화재)

(붕괴순간)

(2008년 2월 11일 현재)

지켜 주지 못해 미안해.
정말 미안해.

태조 5년(1396년)에 돌로 쌓았는데 평양 감사(平壤監司) 조준(趙浚)이 공사를 감독하였다. 세종 4년(1424년)에 고쳤는데, 주위가 1만 4천 9백 35보로 주척(周尺)으로 재어서 8만 9천 6백 10자요, 높이가 40자 2치이다. 문 8개를 세웠다. 정남쪽 문을 숭례문(崇禮門)이라 하는데, 이층 지붕이고, 양녕대군(讓寧大君)이 현판 글씨를 썼으며 민간에서 남대문이라 부른다.

(김학수 화백의 조선시대 칠패시와 함께 그린 풍경)

(김학수 화백의 조선시대 칠패시와 함께 그린 다른 풍경)

(김학수 화백이 그린 여름 풍경)

(김학수 화백이 그린 겨울 풍경)
(1770년 목판인쇄본 지도에 실린 숭례문)

(1880년 사진)

(19세기 말엽 사진)

(1900년 사진)

(영국에 소개된 자동차가 출현했을 때 시민들의 놀람을 그린 그림)

(20세기 초무렵의 사진)

(20세기 초무렵의 사진)

(20세기 초무렵의 사진)
임진왜란과 남대문:
도성(都城)의 남대문(南大門)에 숭례문(崇禮門)이라는 이름은 삼봉(三峯) 정도전(鄭道傳)이 지은 것이요, 그 액자는 세상에서 전하기를, 양녕대군(讓寧大君) 의 글씨라 한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왜적들이 그 액자를 떼어 버려 유실되었는데, 왜란이 평정된 후 남문(南門) 밖의 못[池] 근방에서 밤마다 괴이한 광선(光線)을 내쏘므로 그곳을 발굴하여 다시 이 액자를 찾아 걸었다고 한다....
... 현재 숭례문(崇禮門)의 편액은 정난종(鄭蘭宗)이 쓴 것이다. 그렇다면, 국초(國初)에 걸었던 편액이 반드시 있었을 것인데, 양녕대군(讓寧大君)이 어째서 다시 썼단 말인가. 난리가 평정된 후 괴이한 광선으로 인하여 다시 찾아 걸었다고 하였으니, 정공(鄭公)은 또 어떻게 해서 그를 써서 걸었단 말인가. 하물며 정공은 세조(世祖) 때 사람으로 글씨를 잘 썼기 때문에 비판(碑版)이나 종명(鐘銘)을 어명에 의해 많이 썼으니, 숭례문의 편액도 그의 글씨라는 말은 거짓이 아니다. 그리고 그 자체(字體)를 보아도 바로 그의 서체(書體)임이 분명하다. 임진왜란 때에 왜노(倭奴)들에 의해 없어졌다가 난리가 평정된 후 다시 찾아 걸게 됨으로써, 양녕대군의 글씨라고 와전된 데다 괴이한 광선에 대한 설(說)까지 다시 부회(傅會)된 것이다. (오주연문장전산고 중에서 발췌)
병자호란과 남대문:
병자년(1636) 병란 때에 임금님께서 강화(江華)로 피신하기로 의논을 정하고는 늙고 병든 사람을 먼저 보내도록 명하였기 때문에 부군이 먼저 도성을 떠나게 되었다. 그리고 나는 예조 판서의 신분으로 대궐에 있다가 묘사(廟社)의 신주(神主)를 따라서 먼저 길을 나섰고, 그 뒤를 이어 임금님이 타신 대가(大駕)가 출발하였는데, 대가가 남대문(南大門)에 이르렀을 때 오랑캐의 기병을 만났다. 그랬으므로 길을 피하여, 다시 수구문(水口門)을 통해서 남한산성(南漢山城)으로 향하였다. (포저집 선부군 행장 중에서 발췌)

(대한제국 멸망과 함께 남대문 앞에 세워진, 한일합방을 환영하는 기념문)

(대한제국 멸망 후 성벽이 헐린 직후 무렵 사진)


(일제시대의 사진)

(일제시대 교과서 그림: 한일합방을 즐거워하는 두 나라 사람들 이라는 내용의 설명과 함께)

(일제패망 직후, 서울에 진주하는 연합군을 구경하는 시민들과 환영 행렬)

(대한민국 정부 수립 무렵 1946-1948년경)

(한국전쟁 중의 사진)

(공산당 점령하의 서울, 미군 철군을 주장하는 시위대 사진)

(한국전쟁으로 파괴된 서울에 서 있는 사진)

(1952년)

(한국전쟁 직후 사진)

(50년대 지폐)

(4.19이전 이승만 대통령의 선거 홍보 사진이 붙은 모습)

(60년대 초의 남대문)

(1962-63년 개보수 공사 직후 사진)

(60년대 지폐)

(언제나 지겹도록 지켜보던 20세기 후반의 풍경)

(60년대판 대괴수 용가리 영화에서 용가리가 남대문 앞으로 접근하는 장면)

(1970년대, 박노식, 최지희, 안인숙 주연, 설태호 감독, 영화, "남대문 출신 용팔이" 포스터)

(1987년 민주화 시위 당시 사진)

(1988년 서울 올림픽 기념 주화)

(90년대초 일본 비디오 게임 아랑전설 시리즈에 등장하는 장면)

(서울 관광 홍보 영상 등에서 진부하도록 보던 풍경)


(접근 횡단보도 재개)

(일반 개방 재개)

(2006년에 나온 성벽 복원 계획)


(2008년 2월 10일 화재)

(붕괴순간)

(2008년 2월 11일 현재)

지켜 주지 못해 미안해.
정말 미안해.

덧글
한나라당에 의하면 노무현 대통령 때문에 이런 비극이 일어났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 이렇게 경우없는 말하기도 쉽지 않은데.. 여하튼 정말 굉장한 사람들입니다.
이런 류의 사건이 어떻게 보면 교통사고로 사람 여럿 다치는 일에 비해서 큰 일이 아닌데도, 같은 도시나 같은 나라에 사는 사람들이라는 공동체 문화 안에서는 괜히 분위기를 뒤숭숭하게 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_-/
이명박 시장 시절에 책임이 있다는 주장에 먼저 우위에 서보겠다는 계획에서 꺼낸 이야기 같습니다. 아니면 그냥 정치인들의 습관적인 상대방 욕하기 버릇일 수도 있겠습니다만.
ペリドツト, 혈견화/
실질적인 사건의 책임 논란과 잘잘못 공박을 떠나서, 이명박 시장 시절에 서울의 문화재에 대한 활용방안에 대한 당국의 방향을 크게 조절한 바 있으니, 적어도 책임있는 정치인이라면, 외부의 비판과 자신의 공과와 관계없이, 이 기회에 일을 벌인 사람으로서 대책이나 향후계획에 대해서 진지한 태도를 보이는 것이 좋을 거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서울한복판에서 그정도 불을 끌수 없는 실력인가....
제블로그로 퍼가겠습니다.
공격하려다가 그냥지나쳤어요 수정부탁드립니다.
http://blog.naver.com/leohelios
600년만에 엄청난 또라이가 생긴 것은 아니겠지요.
이 시대가 불태운 것입니다. 눈앞의 이익과 개발에 눈 먼 우리들이.
좋은 자료 잘봤습니다. 좀 담아가 널리 알리겠습니다.
다시는 이같은 비극이 없어야 할텐데요..
저도 좀 담아가고 싶습니다...
오랜 세월을 우리 선조님들과 함께 하며 고난역경 속에서도 꿋꿋히 서있던 자랑스러운 숭례문아!
언젠가 꼭 다시 만나자!
지 몸 팔아도 가치를 따질수 없는 숭례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