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루스
|
로그인
게렉터블로그
gerecter.egloos.com
포토로그
흰 여우, 구미호는 언제부터 한국 괴물이 됐나?
기타
by
게렉터
2017/02/14 22:06
gerecter.egloos.com/5315438
덧글수 :
9
본문은
곽재식의 옛날 이야기 밭 사이트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신고
포스트 메타 정보
퍼블리싱 및 추천
내보내기
밸리 :
역사
2017/02/14 22:06
같은 카테고리의 글
덧글
존다리안
2017/02/14 22:14
#
답글
오늘날 일본 여우들과 너구리들은 자기들 터전을 인류에게 뺏기고 영락해 회사원 등으로 살아가고 있지요. (........)한국도 그럴 겁니다.
게렉터
2017/02/16 14:12
#
그런 식의 좀 우스운 이야기도 자주 보고 싶기도 합니다. 여우 목도리 판매하는 백화점에 날마다 낙서하는 수수께끼의 범인이 있는데 잡아 보니 여우였다든가.
Fedaykin
2017/02/14 23:18
#
답글
그러고보니 율곡 이이..였나 율곡 이이 아버지였나가 금강산에서 만난것도 흰 여우였네요 흠...
게렉터
2017/02/16 14:13
#
현대에 흰 여우 전설로 채집된 것 조차도, 소설, 만화, TV로 극화하는 과정에서 구미호로 바뀌는 경우도 많은 듯 합니다. 한동안 "구미호가 곧 전통"이라는 약간 틀어진 생각에 너무 빠져 있었던 것 아닌가 저는 짐작해 보기도 합니다.
역사관심
2017/02/15 01:50
#
답글
좋은 글 감사합니다.
예전에 소개한 글로 사실 한국형 여우요괴는 '백골변신 여우'가 있습니다.
http://luckcrow.egloos.com/2514201
또한 17세기에는 변신여우를 거의 잡을 뻔한 기담도 있는데, 그 내용외에 실은 중국측 기록이 흥미로운 것이 있었습니다.
http://luckcrow.egloos.com/2587687
한국관련 요호에 관한 거의 가장 오래된 기록이 아닌가 싶은데 이 부분:
[산해경] 기록외에 한대에서 북송초까지의 야화를 10세기인 송대에 엮어낸 대작 [태평광기]에 이런 기록도 전하는 것은 최근 들어서야 알려지고 있습니다.
汧阳令, 太平廣記, 卷449
당(唐) 나라 도사(道士) 나공원(羅公遠)이 유성(劉成)으로 둔갑한 천호(天狐)를 죽이지 않고 멀리 신라로 내쫓아 보냈더니 지금도 신라(新羅)에서는 유성신(劉成神)이 있는데 그 나라 사람들은 그를 경건히 모신다.
이 기록은 '유성신이라는 여우요괴'를 모시는 '신라'에 대한 것으로 매우 흥미로웠지요.
하지만 말씀처럼 구미호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기록이 그다지 알려진 게 없고, 거의 '변신여우'이 많았고, 다만 광의의 동방, 즉 한반도가 포함되는 추정되는 '청구국에는 구미호가 산다'라는 산해경 기록으로 한반도와의 연관점을 찾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게렉터
2017/02/16 14:17
#
저도 처음 올리셨을 때 즐겁게 읽었던 자료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제 생각에는 구미호 - 청구 - 한반도를 연결시키는 것은 약간은 무리인 듯 합니다. "청구"를 한반도의 지칭으로 쓴 것이 산해경이 나온 지 한참 뒤의 일인데다가, 전설로서도 청구의 구미호와 우리나라를 연결시키는 사례는 소개해 주신 상촌집 정도 이외에는 많지 않으니 말입니다.
구미호는 19세기 이후 중국, 일본계 책의 영향으로 그 강렬한 인상이 대중에게 퍼진 뒤에 비교적 최근에 자리잡은 것 아닌가,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역사관심
2017/02/17 12:33
#
아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나름 생각해서 다시 포스팅할 거리를 던져주셨네요 ^^ 한번 살펴 봐야겠습니다.
에뎀
2017/02/16 16:14
#
답글
저도 예전부터 의심하던 부분인데 딱 짚어주셨군요. 구미호를 한국의 요괴 아이콘(되도록 선한 쪽으로)으로 삼으려는 움직임은 자주 보이지만, 솔직히 날조나 곡해가 많지 않나 싶었습니다. 산해경의 구미호 대목은 그 대표격이고요.
게렉터
2017/02/17 23:06
#
"구미호"가 "원래 선한 것이었다"라고 주장하는 것은 정말 이상합니다. 이런 이야기는 한국에서 거의 유통된 적이 없는 이야기입니다. 최근 "규원사화" 같은 20세기 후반에 관심을 받은 책이 주목을 받으며 괜히 인터넷에서 돈 듯 합니다.
댓글 입력 영역
닉네임
비밀번호
블로그
로그인
비공개
다음글 :
도깨비, 도깨비의 역사
이전글 :
용, 용손, 한국 용의 특징은 무엇일까?
프로필
곽재식이 운영하는 블로그 입니다. 공연, TV, 영화, 책, 역사에 관한 글들을 올립니다. 특별히 연락할 일이 필요하시다면, e메일: gerecter@gmail.com
by
게렉터
카테고리
전체
(992)
영화
(689)
오페라
(17)
기타
(272)
()
영화 글 분류
(6)
미분류
(8)
게렉터블로그 목록
가나다순 영화 전체 글목록
한국영화의 고전과 괴이한 옛영화들
흑백 느와르 영화
쇼브라더스 영화
홍콩 느와르 영화
지알로 영화
괴물 백과 사전
제가 지은 이야기들
MBC 환상여행 정리
최근 덧글
저 영화보면 오프닝에서 갑자기 여자와 남자가 ..
by 명탐정 호성
4/14
게임의 몬스터 디자인에 참고하겠습니다. 감사..
by 익명
3/18
일본 괴물도 재밌지요.
by 게렉터
3/12
재밌지요.
by 게렉터
3/12
안녕하세요, 이글루스입니다. 회원님의 소중한..
by 이글루스 알리미
3/3
오!! 저도 재밌네요~ 하지만 일본의 옛기록들에서..
by 고준성
3/3
오 재밌네
by 라그
3/2
매번 관심 갖고 찾아 주셔서 감사합니다.
by 게렉터
2/26
뒤늦게 발견, 읽겠습니다!
by 역사관심
2/22
뭐 간단한 짧은 이야기나 시놉시스, 엽편, 단편..
by 게렉터
2/18
의외로 흥미 진진하군요 -- 내가 글쟁이(?)라도..
by 채널 2nd™
2/18
매번 저도 좋은 자료 역사관심님 블로그에서 잘 보..
by 게렉터
2/18
윗 글에도 써 놓았지만, 조선시대에는 수학 자체..
by 게렉터
2/18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소개해 주신 문답이 드라..
by 게렉터
2/18
지금도 금융권에 대해서는 여전히 인식이 안좋..
by 해색주
2/13
오오, 이런 사극 하나를 알고 있습니다! 곧 소개..
by 남중생
2/13
사농공상이라 하여 도량형을 세거나 돈 따위의 셈..
by 뇌빠는사람
2/13
강추, 동감입니다!
by 역사관심
2/13
9번에 마지막 '죽창한화에 기록되어 있는 한 황..
by 이정국
1/30
오랫동안 언제나 응원해 주시는 뚱띠이님께 오늘..
by 게렉터
1/17
최근 트랙백
폰디체리에 가고 싶다. ( - 파이이야기 life of p..
악당잰의 연구실
07/30
스타트렉 다크니스
잠보니스틱스
06/03
MARVEL MOVIES : 아이언 맨 3
잠보니스틱스
05/25
단군과 전설 속의 이상한 고조선 사람들-링크입..
단군성전 입니다.
01/12
Wreck-It Ralph
BLOG
12/26
흐흠. 고조선에 대해서 알지도못하면서 잡소리 ..
제준생제홍 제홍생백민..
11/04
캐빈 인 더 우즈 - 호러장르에의 존경과 충고
영화중독자 칼슈레이 : 손..
08/20
도둑들 - 여전히 감미롭기는 하지만 변주는 이제..
영화중독자 칼슈레이 : 손..
08/12
도둑들
BLOG
08/08
다크나이트 삼부작 미국을 말하다
영화중독자 칼슈레이 : 손..
07/27
MARVEL MOVIES : 어메이징 스파이더맨(2012)
잠보니스틱스
07/17
어메이징 스파이더맨 - 500일의 스파이디
영화중독자 칼슈레이 : 손..
07/17
목소리 섬 -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 김세미 : 별점..
극한추리 hansang's wo..
07/09
다크 섀도우 - 60년대 원작 드라마에 대한 조악한..
영화중독자 칼슈레이 : 손..
05/29
The Avengers
BLOG
05/06
크로니클
잠보니스틱스
03/18
범죄와의 전쟁 - 한국식 조폭영화가 나아가야할 길
영화중독자 칼슈레이 : 손..
02/10
완득이 - 가벼움과 무거움의 따스한 조화
영화중독자 칼슈레이 : 손..
10/21
리얼 스틸 - <록키>보다는 <오버 더 톱>에 ..
영화중독자 칼슈레이 : 손..
10/19
[영화] 의뢰인 (2011)
삼십칠도씨 이야기
10/12
RSS
이글루스 로고
이글루링크 추가하기
(
)을(를)
이글루링크로 추가하시겠습니까? 추가하시려면 그룹선택을 하세요.
(그룹선택 하지 않는 경우, 최상단 목록에 추가됩니다.)
그룹선택 :
그룹선택없음
덧글
예전에 소개한 글로 사실 한국형 여우요괴는 '백골변신 여우'가 있습니다.
http://luckcrow.egloos.com/2514201
또한 17세기에는 변신여우를 거의 잡을 뻔한 기담도 있는데, 그 내용외에 실은 중국측 기록이 흥미로운 것이 있었습니다.
http://luckcrow.egloos.com/2587687
한국관련 요호에 관한 거의 가장 오래된 기록이 아닌가 싶은데 이 부분:
[산해경] 기록외에 한대에서 북송초까지의 야화를 10세기인 송대에 엮어낸 대작 [태평광기]에 이런 기록도 전하는 것은 최근 들어서야 알려지고 있습니다.
汧阳令, 太平廣記, 卷449
당(唐) 나라 도사(道士) 나공원(羅公遠)이 유성(劉成)으로 둔갑한 천호(天狐)를 죽이지 않고 멀리 신라로 내쫓아 보냈더니 지금도 신라(新羅)에서는 유성신(劉成神)이 있는데 그 나라 사람들은 그를 경건히 모신다.
이 기록은 '유성신이라는 여우요괴'를 모시는 '신라'에 대한 것으로 매우 흥미로웠지요.
하지만 말씀처럼 구미호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기록이 그다지 알려진 게 없고, 거의 '변신여우'이 많았고, 다만 광의의 동방, 즉 한반도가 포함되는 추정되는 '청구국에는 구미호가 산다'라는 산해경 기록으로 한반도와의 연관점을 찾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는 구미호 - 청구 - 한반도를 연결시키는 것은 약간은 무리인 듯 합니다. "청구"를 한반도의 지칭으로 쓴 것이 산해경이 나온 지 한참 뒤의 일인데다가, 전설로서도 청구의 구미호와 우리나라를 연결시키는 사례는 소개해 주신 상촌집 정도 이외에는 많지 않으니 말입니다.
구미호는 19세기 이후 중국, 일본계 책의 영향으로 그 강렬한 인상이 대중에게 퍼진 뒤에 비교적 최근에 자리잡은 것 아닌가, 저는 생각하고 있습니다.